RT @xTHY: @profjkim 교수님 안녕하세요, 일전에 교수님 제자의 '아마존 인턴 이야기'에 동기부여를 받아 써본 'GM에서의 6개월 이야기' 입니다. http://t.co/1baxqgQg 좋은 경험들을 공유하는 작은 바람에서… 고맙습니다!

thtyle.com
이번 포스트에서는 General Motors 연구소에서의 인턴 시절 보고, 느낀 것들을 정리했다. 최근 소셜 미디어에서 화제가 된 KAIST 김진형 교수님 제자의 Amazon 인턴 생활 이야기에 동기부여를 얻었다.
GM R&D에서의 6개월
*이 글은 지극히 개인적, 주관적입니다. 제가 만난 연구원들과 이해관계자와의 경험은 일반화하기에는 어려운 다소 좁은 경험일 수 있음을 미리 밝힙니다.
이번 포스트에서는 General Motors 연구소에서의 인턴 시절 보고, 느낀 것들을 정리했다. 최근 소셜 미디어에서 화제가 된 KAIST 김진형 교수님 제자의 Amazon 인턴 생활 이야기에 동기부여를 얻었다.
김진형 교수님 제자의 ‘Amazon에서의 인턴경험’이 화제인데, GM R&D에 인턴있을 때도 크게 다르지 않았던 기억을 떠올리면. 좋은 기업에 엔지니어들이 있는 부서들은 분위기가 비슷한건가 싶기도… 기회되면 나도 4년전(!) 기억을 적어봐야겠다.
배경
- 석사과정 중 미국 Michigan주 Warren시에 위치한 General Motors(이하 GM)의 Technical Center R&D 연구소에서 인턴 연구원(공식명칭 Visitor Scholar) 생활을 경험하고 왔다.
- 내가 참여한 인턴십 프로그램은 GM에서 보통 선발하는 여름 인턴십 프로그램(여름방학 두 달 동안 진행. 보통 미국기업들의 인턴십 프로그램 형태)이 아닌, 비정규 인턴십 프로그램으로서(GM R&D와 대학교간 MOU와 BK21의 글로벌 인턴십을 통해 선발) 여름 인턴십 프로그램과 선발 및 진행에는 다소 차이가 있지만 업무 형태나 연구 참여 방법은 거의 동일했다.
- 인턴 기간(2008년 2월-8월, 약 6개월)은 금융사태 바로 직전 시점으로 내가 있는 동안에는 GM의 회사 내외 분위기가 좋은 편이었다(2008년 3분기에 발생한 금융위기 후에는 GM내 구조조정, 정부지원 등 많은 어려움이 있었음).
- 인턴으로 근무했던 부서는 MSR(Manufacturing Systems Research) Lab.으로 주로 자동차 생산기술, 물류, 로봇, 시뮬레이션 등에 관련한 Micro-scope의 연구과제를 진행했고, 부서 구성원 대부분이 이공계 박사 출신이었다(기계공학, 수학, 산업공학, 통계학 등 전공).
- 인턴 기간 동안 두 개의 프로젝트를 진행했는데 하나는 GM의 사업부 구성원들과 co-work하고 지원할 수 있는 개발 프로젝트이고 다른 하나는 개인별로 현업에서 발생할 법한 관심 문제를 선택해 자유롭게 진행하는 연구 프로젝트였다.
..... 전문은 http://thtyle.com/blog/2012/08/experiences-on-general-motors/ 을 방문해서 읽어 보세요
포스트 메타 정보
퍼블리싱 및 추천
- 퍼블리싱 및 추천 정보가 없습니다.
덧글